전체 글65 희안하다 vs 희한하다, 뭐가 맞을까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이 있습니다.가끔 글을 쓰다 보면 ‘희안하다’와 ‘희한하다’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지 헷갈릴 때가 있는데,둘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엄연히 맞는 표현과 틀린 표현이 존재합니다.지금부터 그 차이를 확실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희안하다' vs' 희한하다', 뭐가 맞을까요?1. ‘희안하다’는 틀린 표현입니다‘희안하다’는 많은 사람들이 말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지만, 표준어가 아닙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희안하다’라는 단어는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틀린 표현이 널리 퍼졌을까요?✔️ 발음상의 혼동‘희한하다’는 발음이 약간 흐려지면서 ‘희안하다’로 들리기도 합니다. 특히 빠르게 말할 때 두 단어의 음절이 뭉개지면서 ‘안’과 ‘한’이 헷갈릴 수.. 2025. 6. 6. '그러므로' vs '그럼으로'의 정확한 구분법 우리가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그러므로' vs '그럼으로'의 정확한 구분법을 알고 계신가요?일상적으로 쓰는 표현 중 자주 혼동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그중 하나가 바로 ‘그러므로’와 ‘그럼으로’입니다. 말로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쓰임새와 의미에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글을 쓸 때 잘못 사용하면 문장의 논리적 흐름이 어색해지거나, 문법적으로 틀릴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와 올바른 쓰임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그러므로’는 접속 부사✔ 의미‘그러므로’는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 부사입니다.앞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를 바탕으로 뒤 문장의 결과나 결론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지요.✔ 품사부사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 예문그는 열심히 노력했다... 2025. 6. 5. 결재하다 vs 결제하다, 올바르게 쓰고 계신가요? ✔️ 결재하다 vs 결제하다헷갈리기 쉬운 단어, 올바르게 쓰고 계신가요?회사에서 상사의 도장을 받아야 할 때,혹은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고 돈을 지불할 때, 우리는 종종 ‘결재’와 ‘결제’라는 단어를 헷갈립니다.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고, 모두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어 더욱 혼란을 줍니다.그런데 이 두 단어, 뜻은 전혀 다르다는 사실!오늘은 이 헷갈리는 두 표현의 차이점을 확실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결재하다 (決裁하다)✅ 뜻: 상급자가 부하 직원의 안건이나 문서를 검토한 후 승인하거나 허락하는 행위✅ 한자: 결단할 ‘결(決)’, 재단할 ‘재(裁)’✅ 사용 영역: 회사, 관공서 등에서 문서 결재 시 사용예문부장님께 기안서를 결재받고 퇴근했습니다.이 안건은 팀장님의 결재 없이는 진행할 수 없습니다.전자.. 2025. 6. 4. 겸연쩍다 vs 겸연적다, 어떤 표현이 맞을까?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오늘은 '겸연쩍다'와 '겸연적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겸연쩍은 미소', '겸연적은 태도'.....어쩐지 익숙한 듯 낯선 이 두 표현, 여러분은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겸연쩍다 vs 겸연적다,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낯설지만 자주 쓰이는 표현 ‘겸연쩍다’“내가 괜히 그랬나 싶어서 겸연쩍게 웃었다.”“말을 꺼내고 나니 겸연쩍은 기분이 들었다.”일상 대화 속에서 은근히 자주 등장하는 이 표현,그런데 어떤 글에서는 ‘겸연쩍다’, 어떤 데서는 ‘겸연적다’로 되어 있어 헷갈린 적 없으신가요?오늘은 이 두 단어의 맞춤법, 의미, 그리고 유래까지 꼼꼼히 짚어보겠습니다.✅ 정답은 ‘겸연쩍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겸연쩍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겸연쩍다[형용사] 무안.. 2025. 6. 3. '던지' vs '든지', 선택 표현의 올바른 쓰임 알고 계신가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며 틀리는 표현법 중에 '~던지'와 '~든지'가 있습니다. 오늘도 알아두면 유용하고 재밌는 맞춤법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했던지 든지 헷갈려요”, “뭘 먹었던지 기억이 안 나요?”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 중 ‘-던지’와 ‘-든지’는 유사한 발음 때문에 혼동되기 쉽습니다.이 두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법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표현입니다.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점과 올바른 쓰임을 쉽고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던지’는 과거의 회상‘-던지’는 막연한 과거의 회상이나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주로 과거에 있었던 사실이나 경험을 되짚을 때 쓰이죠.✅ 예시로 이해하기그 사람이 어디에 살던지 기억이 안 나.마지막에 무엇을 말하던지 제대로 못.. 2025. 6. 2. '오시오' vs '오시요', 어느 쪽이 맞을까요?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오시오' vs '오시요', 어느 쪽이 맞을까요? 📌 ‘오시요’가 익숙한 당신께.전통시장이나 식당을 걷다 보면, 종종 문 앞에 이런 문구가 붙어 있는 걸 보게 됩니다."어서 오시요~""이리 오시요, 손님!""들어오시요~!"정겨운 인사말 같지만, 이 표현들 중에 잘못된 것이 있습니다.특히 ‘오시요’는 ‘오시오’와 발음이 비슷해 혼용되기 쉽지만, 국어 문법에 따르면 분명히 틀린 표현입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오시오 vs 오시요’의 정확한 사용법을 짚어보고, 어떤 표현이 문법적으로 맞는지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오시오’는 맞는 표현입니다‘오시오’는→ ‘오다’라는 동사의 정중한 명령형이에요.정확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오 : 동사 어간시 : 높임을.. 2025. 6. 1.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